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ID 찾기 / 임시 Password 발급
* 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있으신 경우에는 콜센터 전화 02-2143-8400이나, special@sericeo.org로 메일을 보내주십시오
천직이라 여길 만큼 '원하던 일'을 하게 됐지만 4~5년이 지나자 열정이 식었다. 처음부터 잘못된 선택을 했던 것일까? 일에 대한 회의가 들때 어떻게 해야 할까?
자녀에게 소홀한 것 같아 자책감이 든다는 위킹맘들. 직장과 가정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행복해 질 수 있을까? 모든 것을 완벽히 해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는 것이 먼저다!
술, 담배처럼 권력도 중독되기 쉽다는데...권력 중독으로 인한 뇌의 변화와 권력 중독을 막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열심히 일하지 않는 동료들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것 같아 화가 난다는 김 과장.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까? 그 방법을 확인해 본다.
'전무 라인'과 '상무 라인' 사이에서 어려움에 직면한 김 과장. 어느 쪽도 따를 수 없는 '이중 구속'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
부하직원 편의 봐주고 고민상담 해주다 지쳐버렸다? 타인의 요구를 쉽게 거절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 내면에 작동하는 심리적 기제와 적절한 관계 유지법을 알아본다.
타고난 성격을 바꿀 수 있을까? 성격을 구성하는 요소를 살펴보며 성격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누구나 열등감을 느끼는 포인트가 있기 마련. 어떻게 하면 열등감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까? 그 방법을 알아본다.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나, 공감 능력도 키울 수 있을까? 그 방법을 알아본다.
나만 비참하게 직장 생활을 하는 것 같다고 느껴진다면 지금 내게 필요한 것은 '나에 대한 존중'이다!
결정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나, 뭐가 문제인 것일까? 어떻게 하면 '결정장애'를 극복할 수 있을까? 원인과 해법을 알아본다.
부부싸움 후 아내 눈치만 보며 선뜻 사과를 하지 못하는 박 과장. 왜 사과가 어려운 것일까? 진심을 전달할 수 있는 사과 방법을 알아본다.
부족한 점이 보여서 '지적'을 했더니 '부정적인 사람'이라는 딱지가 붙었다. 나는 문제 있는 사람인 걸까? 바람직한 자기 인식 자세와 문제를 대하는 현명한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개천에서 용났다'는 친구들의 부러움과 달리 학벌 때문에 직장에서 열등감을 느끼는 김 대리 사연을 확인해 본다.
현대인 대다수는 휴대전화 메시지, SNS 등으로 타인과 소통하며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 이것이 과연 진정한 '연결'일까? 이런 연결 속에서 우리는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 행복하고 싶다면 진짜 경험 속으로 들어가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회사에서 웃는 얼굴로 고객을 응대했지만 집에 돌아와 가족에게 분노를 터트리고 말았다! 뭐가 문제인 걸까? 감정노동에 따른 스트레스가 위험한 이유와 해소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사람은 누구가 사회적 평가에 예민하기 마련. 하지만 타인의 인정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는 꽤 괜찮은 사람'이라는 '자기확신'이다. 자기확신을 갖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누구나 한 번쯤 떨쳐버리기 힘든 고민과 걱정 때문에 잠 못 이룬 경험을 하기 마련. 생각은 왜 괴로움으로 이어질까? 어떻게 하면 나를 괴롭히는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그 원인과 방법을 확인해 본다.
가족도 있고 직장도 있고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고 있는데 외롭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유가 뭘까? 어떻게 해야 할까? 외로움에 대해 생각해본다.
뭘 해도 허무하고 공허감이 밀려온다. 나 중년 우울증일까? 스스로를 돌아보며 인생을 재정비하라는 신호가 왔을 때 건강하게 내일을 준비하는 심리적 방법을 확인해 본다.